우리궁궐지킴이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5) / 이경환 본문
1946년 9월 1일에 시달된 ‘국민학교 교과목 및 연간 수업 시간 수‘는 <표Ⅰ-4>와 같다.
<표Ⅰ-4> 국민 학교 교과목 및 연간 수업 시간 수(1946.9)
교과 학년 | 1학년 | 2학년 | 3학년 | 4학년 | 5학년 | 6학년 |
국어 | 360 | 360 | 360 | 460 | 320 | 320 |
사회생활 | 160
| 160
| 200
| 200
| 남 240 여 200 | 240 200 |
이과 | - | - | - | 160 | 160 | 160 |
산수 | 160 | 160 | 160 | 200 | 200 | 200 |
보건 | 200 | 200 | 200 | 200 | 200 | 200 |
음악 | 80 | 80 | 80 | 80 | 80 | 80 |
미술 | 160
| 160
| 160
| 160
| 남 160 여 120 | 160 120 |
가사 | - | - | - | - | 여 80 | 80 |
계 | 1,120 (28) | 1,120 (28) | 1,200 (30) | 1,360 (34) | 1,360 (34) | 1,360 (34) |
※ 시간 수는 1년을 40주로 하여 교과별 연간 이수 시간 수를 나타낸 것이다.
* (출처): 함종규, ‘한국 교육과정 변천사 연구(전편)’, (서울: 숙명여자대학교 출판부, 1983), p.189.
국민학교의 각 교과별 교수요목에 나타난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과정의 진술 체제가 교과별로 통일되어 있지 않아, 교과에 따라 교수 목적, 교수 방침, 교수 요목의 운용법, 교수에 관한 주의를
제시한 교과(예: 국민학교 사회생활과)도 있지만, 대부분의 교과가 단원 또는 제재명과 내용 요소만을 제시하고 있고,
둘째, 각 교과 모두 단원 또는 제재별로 이수할 시간 수를 밝히고 있으며,
셋째, 내용 요소의 진술 형식도 설문 형식, 단순한 내용 요목 제시 형식 등 교과에 따라 다르다.
넷째, 교과 편제의 특색은 실과가 없어졌고, 사회생활과가 탄생했다는 점이다. 사회생활과는 공민, 역사, 지리, 직업, 자연관찰(1~3학년)을
종합하여 편성한 교과로서, 사회 생활을 영위하는 데 필요한 기본적인 교양을 내용으로 하는 교과로 특히 민주 시민을 기르는 데 그 주안점 을 두고 편제된 것이다. 이것은 지식 중심의 교과 내용이 생활 중심의 교과로 바뀌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여, 앞으로 생활중심
교육과정이 중점적으로 도입될 것을 알려주는 것이기도 했다.
편제표에서 이과의 1, 2, 3학년에 시간 배당을 하지 않은 대신, 그 내용을 사회과에서 ‘자연관찰’이라는 이름으로 학년별로 연간 28시간씩
이수하도록 하고 있고, 실과 내용은 남자의 경우에는 5, 6학년 사회과와 미술과에, 여자는 가사과에 포함되도록 편제하였다.
(나) 중등학교
중등학교의 경우에도 광복 직후는 전국적으로 통일된 교수 요목이 없었다. 다행히 국어는 조선어학회에서 지어 낸 ‘중등 국어 독본’이
있었고, 국사는 진단학회에서 마련한 ‘국사’가 있었으나, 그 이외의 다른 교과는 학교 자율적 또는 지역적 노력에 의하여
교수 요목을 만들고 교재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교육과정, 교과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7) / 이경환 (0) | 2020.01.08 |
---|---|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6) / 이경환 (0) | 2020.01.08 |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4) / 이경환 (0) | 2020.01.08 |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3) / 이경환 (0) | 2020.01.08 |
"한국 교육과정의 변천 개관"(1.교수요목의 시기-2) / 이경환 (0) | 2018.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