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지킴이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3]/ 2025년 4월 21일 본문

가톨릭 교회

프란치스코 교황 선종[3]/ 2025년 4월 21일

불꽃緝熙 2025. 4. 26. 12:23

|‘가난한 이들의 성자’ 프란치스코(Francis) 교황 선종(善終) 1936~2025
|첫 남미 출신 교황, 향년 88세
|38일간 폐렴 치료 퇴원뒤 상태 악화
|“장례 소박하게” 바티칸 9일간 애도

 

가톨릭 사상 첫 남미 출신으로 ‘가난한 이들의 성자’로 불렸던 프란치스코(Francis) 교황이 21일(현지 시간) 선종(善終)했다.

향년 88세.

교황청 궁무처장인 케빈 패럴 추기경은 이날 “프란치스코 교황이 오늘 오전 7시 35분 아버지의 집으로 돌아가셨다”라며 “그는 우리에게 복음의 가치를 충실히 하고, 용기를 갖고 보편적인 사랑을 실천하며 살도록 가르쳤다”고 발표했다. 패럴 추기경은 이어 “교황은 특히 가난하고 소외된 사람들을 위해 헌신했다”며 “예수님의 진정한 제자로서 보여준 모범에 대해 깊은 감사를 표한다”라고 덧붙였다.

2013년 제266대 교황으로 선출된 프란치스코 교황은 재위 12년 동안 청빈하고 소탈한 행보로 세계적인 사랑을 받았다. 교황은 올해 2월 14일 이탈리아 로마 제멜리 병원에 입원해 폐렴이 확인돼 “심각한 상황”이란 진단을 받았다. 젊은 시절 폐렴을 앓아 한쪽 폐 일부를 절제한 것으로 알려진 교황은 겨울이면 만성 호흡기 질환에 시달려 왔다.

 

한때 위중한 상태에 빠졌던 교황은 상태가 호전되며 지난달 23일 38일간의 입원을 마치고 퇴원했다. 이후 찰스 3세 영국 국왕을 접견하고 로마 시내 교도소를 방문하는 등 조금씩 활동을 재개했다. 선종 전날인 20일 부활절 대축일에도 성베드로 광장에 모습을 드러내 부활절 메시지를 전하기도 했다.

프란치스코 교황은 최근 발간된 자서전 ‘희망’에서 “장례 준비는 끝났다. 교황 장례 예식이 성대해 담당자와 상의해 간소화했다”며 “품위는 지키되, 다른 그리스도인들처럼 소박하게 치르고 싶다”는 뜻을 밝혔다. 이에 장례 규정을 개정해 역대 교황들이 묻힌 바티칸 성베드로 대성전(St. Peter’s Basilica)이 아닌 로마 시내에 있는 산타마리아 마조레 대성전(Basilica di Santa Maria Maggiore)에 안장될 예정이다.

 

“교황청 갈 돈으로 기부하라” 가장 낮은 곳 지킨 ‘빈자들의 아버지’

 

|프란치스코 교황이 걸어온 길
|콘클라베 구두 낡아 신부들이 사줘… 교황 전용숙소 거부, 사제들과 생활
|“예수도 난민” 미사에 난민 초대… 평소 “타인의 비극에 눈감지 말라”

1966년 아르헨티나 부에노스아이레스의 중고등학교에서 교사로 근무한 교황

 

21일(현지 시간) 선종한 프란치스코 교황은 평생 가난한 이들과 어울리며 복음을 실천한 인물이다. 아르헨티나 출신으로 2013년 3월 즉위해, 가톨릭 교회 2000년 사상 첫 남미 출신이자 1282년 만의 비(非)유럽권 교황이란 기록도 세웠다.

교황은 부에노스아이레스 대교구장 시절에도 허름한 아파트에 살며 대중교통을 이용했다. 이런 소탈한 모습은 2019년 영화 ‘두 교황(The Two Popes)’에도 소개됐다. 교황청 방문 때도 주로 대중교통을 이용했던 그는 “교황청 방문할 돈으로 빈자들에게 기부하라”고 했다.

● “하느님 가르침을 따른 평범한 사람”

 

‘아시시의 프란치스코’에서 즉위명을 딴 프란치스코 교황은 1936년 12월 17일 부에노스아이레스에서 철도 노동자의 5남매 중 장남으로 태어났다. 본명은 호르헤 마리오 베르고글리오.

교황은 평소 어린 시절을 “고집불통에다 주먹이 먼저 나가던 문제아”라고 회고했다. 교황은 자서전에서 “여느 소년과 다를 바 없지만, 주님에게서 큰 선물을 받았다”며 “바로 부끄러워할 줄 아는 수치심”이라고 술회했다.

대학에서 화학을 전공했지만, 1958년 예수회에 입문해 수도사의 길을 걸었다. 젊은 시절 폐렴 합병증으로 한쪽 폐를 떼어냈는데, 이 때문에 말년에 잦은 호흡기 질환으로 고생했다.

소탈한 면모는 교황 선출을 위한 콘클라베 참석 때도 드러났다. 구두가 낡아 신부들이 새 구두를 사드렸을 정도였다. 가톨릭에서 추기경은 에미넨차(Eminenza), 주교는 에첼렌차(Eccellenza)로 부른다. 하지만 그는 언제나 친근한 ‘파드레(Padre 신부)’로 불러주길 원했다.

2013년 6월 로마 성베드로 광장에서 병자를 위한 미사를 집전하는 교황

 

프란치스코 교황은 고령과 건강을 이유로 자진 사퇴한 베네딕토 16세에 이어 교황으로 선출됐다. 교황청 안팎에 대한 신뢰 회복이 절실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교황은 평소 “교회 기본 정신은 복음을 전하는 것”이라며 “초창기 교회의 가르침에 충실하게 사는 것이 바른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교황에 오른 뒤엔 교황궁 전용 숙소를 거부하고 사제들의 공동 숙소인 카사산타마르타에서 생활했다.

교황은 교회 내부 개혁에도 힘썼다. 취임 시 직원들에게 보너스를 주던 관례를 폐지하고, 바티칸 은행감독위원회가 매년 추기경들에게 지급하던 보너스도 없앴다.

● “타인의 비극에 눈감지 말라”

가난하고 소외된 이들에 관한 관심과 지원은 교황의 가장 큰 관심사였다. 취임 넉 달 만에 교황청 밖 첫 미사를 이탈리아 최남단 람페두사섬에서 집전했다. 이 섬은 정치 불안과 가난을 피해 유럽으로 가는 북아프리카 난민들의 경유지였다.

2021년 3월 이라크에서 이슬람 시아파 최고지도자 알리 알시스타니와 만난 교황

 

2014년 6월 중동을 방문해 평화 기도회를 열기도 했다. 교황은 당시 시몬 페레스 이스라엘 대통령과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이 참석한 가운데 “이 땅은 평화 정착에 성공할 기회가 있었지만 실패했고, 이것이 우리가 여기에 모인 이유”라고 했다.

논쟁적인 사회 문제에도 전향적이었다. 2016년 “예수도 난민이었다”며 바티칸 특별미사에 빈민과 난민 6000여 명을 초대했다. 2023년엔 로마 가톨릭 사제들의 동성 커플에 대한 축복을 공식 승인해 “가톨릭 교회의 중대한 변화”라는 평가를 받았다.

교황은 즉위 10주년 인터뷰에서 소망을 묻자 “평화”라는 한 단어로 답했다. 그는 “타인의 비극에 눈을 감고 ‘내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하는 것이 무관심”이라며 국제사회에 ‘무관심의 세계화’를 경계할 것을 촉구했다.

아시아 첫 방문지는 한국…

어린이 축복 2014년 8월 16일 한국을 방문한 프란치스코 교황이 시복 미사를 집전하기 위해 서울 광화문광장으로 향하던 길에

한 어린이에게 축복을 해주고 있다. 당시 프란치스코 교황은 아시아청년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방한했다.

교황이 된 뒤 첫 번째 아시아 방문이었다. 동아일보D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