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지킴이
2826-한밤의 사진편지 제2786호('평화의 문' - 장주익/'20/3/29/일) 본문
한밤의 사진편지 제2786호 ('20/3/29/일)
[한사모' 공식 카페] - '한밤의 사진편지 romantic walking' -[클릭]-
| |
"평화의 문 "
1988년 서울 올림픽을 기념하기 위한 평화의문 (World peace gate)
이 서울 송파구 올림픽 공원 입구에 세워져 30년 넘게 자리하고 있습니다.
평화의 문이 자리하고 있는 올림픽 공원은 1984년 착공하여 1986년 완공된 45만평 규모의 도심공원 입니다.
공원중심부에는 몽촌토성을 복원했고 이를 중심으로 하여
6개의 올림픽 경기장 ( 싸이클경기장, 역도경기장, 펜싱경기장, 체조경기장, 테니스경기장, 수영장) 들이 반원형으로 배치
되어있으며 주변에 200여점의 조각작품들이 곳곳을 장식하고 있습니다.
평화의 문은 우리의 대문을 상징하면서 전통과 현대건축의 만남이 이루어 지고 있으며 처마형태의 지붕이 있습니다,
단청의 개념이 도입된 처마는 비약과 상승의 이미지라고 합니다. 높이 24m 로 지하 1층,지상 4층 규모의 철근콘크리트 구조물로 45억의 공사비가 들었다고 합니다.
수직선이 강조된 기둥의 직선과 이에 반해 지붕은 매우 유연한 곡면으로 둔함과 경쾌함이 매우 강한 대조를 이루며 조화된 아름다움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김중업(1922-1988) 이 설계했습니다 천장이기도 하고 양쪽 날개이기도 한 부분에는 백, 청, 적색으로 단청형태의 사신도(四神圖) 가 그려져 있는데 아래 연못에 비칠라 치면 마치 살아있는 듯한 감동을 주기도 합니다.
우측에 그려진 현무(玄武, 거북과 뱀의 모양을 한 북방의 神) 와 주작(朱雀, 붉은 봉황을 형상화한 남방을 관장하는 神),
좌측에 그려진 청룡(靑龍, 푸른빛을 띄는 용으로 동방의 神) 과 백호(白虎 흰털을 가진 범의 모습으로 서방의 神)는 고구려 장군총 벽화에서 따 온 것이라고 합니다.
(사신도는 서양화가인 성균관대학 백금남교수의 작품)
평화의 문 좌우 양쪽으로는 30개씩 60개의 청동으로 구성된 "탈" 이 열지어 서 있습니다.
(이승택 조각가의 작품)
그의 1964년 작품인 제주대학 본관, 건물이 선지 29년이 지난, 1993년 2월 의 일입니다. 한국건축계와 제주의 지방문화계가 합동으로 보존운동을 펼쳤고, 서울에서 80여명의 건축가가 제주로 내려와 지역문화계 인사들과 함께 한국현대건축사의 주요사료 이며 제주도의 문화유산인 제주대학 본관 건물은 보존해야 한다는 공동성명까지 발표하였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주대학 본관은 너무 노후되었다 하여 1995년 5월 결국 헐리고 맙니다.
>
Pro Architect Naver.com
|
'한밤의 사진편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789-한밤의 사진편지 제2789호('에펠탑' - 장주익/'20/4/15/수) (0) | 2020.04.15 |
---|---|
2787-한밤의 사진편지 제2787호('유쾌한 인생 탐구' - 김재관/'20/4/3/금) (0) | 2020.04.02 |
한밤의 사진편지 제2785호(누룽지는 만병통치약이다/'20/3/28/토) (0) | 2020.03.28 |
2785-한밤의 사진편지 제2785호(누룽지는 만병통치약이다/'20/3/27/금) (0) | 2020.03.27 |
2785-한밤의 사진편지 제2785호(누룽지는 만병통치약이다/'20/3/27/금) (0) | 2020.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