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지킴이

성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함 본문

가톨릭 교회

성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함

불꽃緝熙 2017. 6. 22. 13:32

 

 

 


Sir Thomas More - HOLBEIN, Hans the Younger
1527. Tempera on wood, 74,2 x 59 cm. Frick Collection, New York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성하의 자의 교서

성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함

QUIBUS SANCTUS THOMAS MORUS
GUBERNATORUM, POLITICORUM VIRORUM
AC MULIERUM
PROCLAMATUR PATRONUS

2000. 10. 31.

 

영원히 기념하여

   

1. 성 토마스 모어의 삶과 순교는 인간 양심의 양도할 수 없는 존엄을 수세기에 걸쳐 모든 지역의 사람들에게 말해 주는 메시지의 원천이 되어 왔습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우리에게, 인간의 양심이란 “인간의 가장 은밀한 핵심이며 지성소이다.

거기에서 인간은 홀로 하느님과 함께 있고 그 깊은 곳에서 하느님의 목소리를 듣는다.”(현대 세계의 교회에 관한 사목 헌장[Gaudium et Spes], 16항) 하고 상기시켜 줍니다.

인간이 진리의 외침에 귀 기울일 때마다 양심은 그들의 행동을 확실하게 선으로 이끌어 줍니다.

성 토마스 모어는 진리가 권력에 우선한다는 것을 목숨을 바쳐서까지 증언하였기 때문에 도덕적 고결함의 영원한 본보기로 존경받고 있습니다.

또한 교회 밖에서까지, 특히 민족의 운명을 책임지고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그는 인간에 대한 봉사를 최고의 목적으로 삼는 정치 제도를 위한 영감의 원천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최근에 몇몇 국가와 정부의 수반, 많은 정치 인사들, 일부 주교회의와 주교들이 저에게 성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하도록 요청해 왔습니다.

서로 다른 정치, 문화, 종교에 충실한 사람들도 이러한 청원에 동조하였습니다.

이것은 이 뛰어난 정치인의 사고와 활동에 대한 깊고 광범한 관심을 나타내는 표징입니다.    

 

2. 토마스 모어는 그의 모국에서 탁월한 정치 경력을 쌓았습니다.

1478년 런던의 한 훌륭한 가문에서 태어난 그는 어렸을 때 캔터베리 대주교이며 영국의 대법관인 존 모턴을 도왔습니다.

나중에 옥스퍼드와 런던 대학에서 법률을 공부하면서 문화와 신학, 고전 문학 분야에 대한 관심도 넓혔습니다.

그는 그리스어에 능통하였고, 로테르담의 데지데리우스 에라스무스를 비롯하여 르네상스 문화의 주요 인물들과 교제하며 친분을 맺었습니다. 

그는 순수한 신앙심을 가지고 열심히 고행을 실천함으로써 덕을 쌓았습니다.

그리니치에 있는 프란치스코 탁발 수도회의 원시회칙파 수도자들과 친밀한 관계를 키워 나갔고, 한때는 런던 카르투지오회 수도원에서 살았습니다.

이 두 곳은 영국에서 종교적 열정이 넘치는 주요 중심지였습니다.

혼인을 하여 가정 생활을 하고 평신도로 헌신하도록 부름 받았다고 느낀 그는 1505년에 제인 콜트와 혼인을 하여 네 명의 자녀를 두었습니다.

제인은 1511년에 세상을 떠났고, 토마스는 딸 하나를 둔 미망인인 앨리스 미들턴과 재혼을 하였습니다.

그는 평생토록 다정하고 성실한 남편이고 아버지였으며, 자녀들의 종교, 도덕, 지적 교육에 깊이 관여하였습니다.

그의 집은 자녀들의 배우자와 손주들이 마음대로 드나들었고, 진리나 인생의 소명을 찾는 많은 젊은 친구들에게도 언제나 열려 있었습니다.

가정 생활은 또한 그에게 만족스럽고 건전한 휴식뿐 아니라 공동 기도와 영적 독서를 위한 충분한 기회를 제공하였습니다.

토마스는 본당의 매일 미사에 참례하였으며, 그가 실천한 엄격한 고행에 대해서는 가까운 가족들만이 알고 있었습니다.

   

3. 그는 1504년 헨리 7세 치하에서 처음으로 하원 의원에 당선되었습니다.

헨리 7세의 후계자인 헨리 8세는 1510년에 그에게 위임을 갱신하였고, 그를 런던의 사정 장관보(司政 長官補)로 임명하기까지 하였습니다.

그리하여 그는 관직에서 탁월한 경력을 쌓기 시작하였습니다.

뒤이어 10년 동안 국왕은 그에게 여러 차례 외교와 통상 임무를 맡겨 플랑드르와 오늘날의 프랑스 영토에 보냈습니다.

그는 칙선 법정 변호사단의 일원으로 중요한 법정의 재판을 주재하였고, 왕실 회계국 부장관과 주(州) 선출 대의원을 지냈으며, 1523년에는 하원 의장이 되었습니다.   

변함 없는 도덕적 고결함, 영민한 정신, 개방적이고 재치 있는 성격, 출중한 학식으로 모든 사람에게 큰 존경을 받고 있던 그는 영국이 정치, 경제 위기를 겪고 있던 1529년에 국왕을 통하여 대법관직에 임명되었습니다.

평신도로서는 처음으로 이 직위에 오른 토마스는 이 어려운 시기를 맞아 국왕과 국가에 봉사하고자 노력하였습니다.

그는 자신의 원칙에 충실하면서, 힘 없는 사람들을 희생시켜 자기 이익만 챙기려 하는 사람들의 해악을 막고 정의를 증진하는 데에 온 힘을 기울였습니다.

1532년, 영국 교회를 지배하려는 헨리 8세의 계획을 지지하고 싶지 않았던 그는 대법관직을 사임하였습니다.

그는 공직 생활에서 물러나, 가족들과 함께 가난을 견디었으며, 시련의 때에 거짓 친구들임이 드러난 많은 사람에게 버림을 받았습니다.   

양심을 더럽히는 어떠한 타협도 거부하는 그의 강직함과 단호함을 확인한 국왕은 1534년 그를 런던탑에 가두었습니다.

거기에서 그는 온갖 심리적 압력을 받았습니다.

토마스 모어는 흔들리지 않았고 그에게 강요된 선서를 거부하였습니다.

그것은 제어할 수 없는 전제 정치의 길을 여는 정치적, 교회적 타협을 받아들인다는 것을 의미하였기 때문입니다.

재판정에서 그는 혼인의 불가해소성, 그리스도교 문명의 법률적 세습 자산에 대한 마땅한 존중, 국가와 맺는 관계에서 교회가 누려야 할 자유에 대한 신념을 열렬히 변호하였습니다.

그는 결국 법정에서 유죄 판결을 받고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습니다.   

몇 세기가 지나자 교회에 대한 차별이 줄어들었습니다.

1850년에는 영국 가톨릭 교계 제도가 재확립되었습니다.

이로써 많은 순교자들의 시성 추진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토마스 모어는 존 피셔 주교를 비롯하여 53명의 다른 순교자들과 함께 1886년에 교황 레오 13세 성하를 통하여 시복되었습니다.

또한 순교 400년이 되는 1935년에는 교황 비오 11세 성하를 통하여 존 피셔 주교와 함께 시성되었습니다.

   

4.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과 공직자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하는 이유는 많이 있습니다.

그 가운데 하나가 정치계와 행정계에서 느끼는 믿음직한 역할의 모범에 대한 필요성입니다.

힘든 도전과 중대한 책무가 늘어나는 역사적 시기에는 진리의 길을 가리킬 수 있는 본보기가 필요합니다.

오늘날은 실제로 매우 혁신적인 경제 세력이 사회 구조를 재형성하고 있습니다.

다른 한편, 생물 공학 분야의 과학적 성취는 모든 단계의 인간 생명을 수호하여야 할 필요성을 분명히 나타내 줍니다.

반면, 혼란스러워하는 여론에 성공적으로 제시된 새로운 사회에 대한 전망은 가정과 젊은이들, 노인과 소외된 이들을 위한 명확한 정치적 결정을 절박하게 요구합니다.   

이러한 맥락에서 성 토마스 모어의 모범을 살펴본다면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그는 바로 권력이 아니라 정의라는 숭고한 이상에 봉사하려는 의향을 가지고 합법적 권위와 제도에 변함 없이 충실하였던 것으로 유명하였습니다.

그의 삶은 우리에게, 정치란 무엇보다도 덕의 실천임을 가르쳐 줍니다.

이러한 엄격한 도덕적 태도를 견지하였던 이 영국 정치인은 공직 활동을 통하여 사람들, 특히 힘 없고 가난한 사람들에게 봉사하였습니다.

그는 공평성에 대한 뛰어난 감각으로 사회적 논쟁을 다루었으며, 가정을 옹호하고 수호하는 데에 힘을 다 바쳤고, 또한 젊은이들의 전인 교육을 지지하였습니다.

명예와 부에 대한 철저한 무관심, 청렴하고 기꺼운 겸손, 인간의 본성과 성공의 무상함에 대한 균형 잡힌 이해, 신앙에 뿌리박은 판단에 대한 확신, 이 모든 것은 그에게 역경과 죽음에 직면하여서도 그를 지탱해 준 확신에 찬 내적 힘을 주었습니다.

그의 성덕은 순교로 빛났지만, 하느님과 이웃에 대한 헌신으로 일관된 전 생애에 걸쳐 준비된 것이었습니다.   

저는 세계주교대의원회의 후속 교황 권고 「평신도 그리스도인」(Christifideles Laici)에서, 그와 같이 신앙과 행동을 완전하게 조화시킨 예를 들면서 이렇게 썼습니다.

“평신도들의 생활의 일치는 대단히 중요합니다.

평신도들은 참으로 일상의 직업 생활과 사회 생활 안에서 성화되어야 합니다.

그러므로 자신들의 소명에 응답하고자, 평신도들은 하느님께 일치하여 하느님의 뜻을 이루고 다른 사람들에게 봉사하며 그들을 그리스도 안에서 하느님과 나누는 친교로 인도하는 기회로서 일상 생활을 인식하여야 합니다.”(17항)   

자연적인 것과 초자연적인 것의 이 같은 조화는 다른 무엇보다도 이 위대한 영국 정치인의 인품을 특징짓는 요소일 것입니다.

그의 열정적인 공직 생활은 사형 집행을 당하는 순간까지도 유머를 잃지 않는 소박한 겸손으로 일관되었습니다.   

그는 진리에 대한 열정에 이끌려 이러한 높이에 이른 것입니다.

그의 양심을 밝혀 주었던 것은, 인간이 하느님과 분리될 수 없는 것처럼, 정치도 도덕에서 분리될 수 없다는 의식이었습니다.

제가 이미 다른 기회에 말씀드린 것처럼, “인간은 하느님에게서 창조되었기에 인간의 권리는 하느님께 그 기원을 두며, 창조 계획을 바탕으로 하고, 구원 계획의 일부를 이룹니다.

그러므로 인간의 권리는 하느님의 권리이기도 하다고 감히 말할 수 있습니다.”(1998년 4월 7일 연설)   

토마스 모어의 모범이 밝게 빛을 발하였던 것은 바로 양심의 권리를 옹호할 때였습니다.

이단자들에 대한 행동에서 그가 비록 그 시대의 문화적 한계를 반영하기는 하였지만, 그는 도덕적 양심의 가치를 독특한 방식으로 입증하였다고 할 수 있습니다.

“양심은 하느님 자신의 증인입니다.

하느님의 목소리와 판단은 인간의 영혼 깊숙이 파고듭니다.”(회칙 「진리의 광채」[Veritatis Splendor], 58항)

   제2차 바티칸 공의회의 ‘사목 헌장’은 오늘날의 세계에 대하여 이렇게 언급합니다.

오늘날에는 “인간이 지닌 고귀한 존엄성에 대한 의식이 커지고 있다. 인간은 만물에 앞서고 또 인간의 권리와 의무는 그 누구도 침해할 수 없는 보편적인 것이기 때문이다.”(26항)

성 토마스 모어의 생애는 정치 윤리에 대한 근본 진리를 분명히 보여 줍니다.

국가의 부당한 간섭에서 교회의 자유를 수호하는 것은 최고의 양심의 이름으로 정치 권력에 맞서 개인의 자유를 수호하는 것이기도 합니다.

여기에서 우리는 인간의 본성과 조화를 이루는 모든 사회 질서의 기본 원리를 발견합니다.   

 

5. 그러므로 저는 성 토마스 모어와 같이 특출한 인물을 정치인들의 수호 성인으로 선포하는 것은 사회의 선익에 이바지하리라고 확신합니다.

이것은 또한 우리를 그리스도교 제삼천년기로 데려다 주는 대희년의 정신과 완전히 일치하는 행위이기도 합니다.   

그러므로 저는 저에게 보내 주신 청원들을 충분히 고려하고 기꺼이 받아들여, 성 토마스 모어를 정치인들의 거룩한 수호 성인으로 정하여 선포하며, 법에 따라 이 범주의 수호 성인들에게 속하는 모든 전례적 영예와 특권을 그에게 부여하도록 명령합니다.   

어제도 오늘도 영원히 인간의 구세주이신 예수 그리스도께서는 찬미와 영광 받으소서.

 

성 베드로좌에서
교황 재위 제23년
2000년 10월 31일
교황 요한 바오로 2세

 

 Sir Thomas More - HOLBEIN, Hans the Younger
1527-28. Black and coloured chalks on paper, 397 x 299 mm. Royal Collection, London

 

축일 : 6월 22일
성 토마스 모어 순교자, O.F.S.
San Tommaso Moro Martire 
Londra, 1478 - 6 luglio 1535
Saint Thomas More
Also known as : omnium horarum homo (a man for all seasons, referring to his wide scholarship and knowledge)
Born : 7 February 1478 at London, England
Died : beheaded on 6 July 1535 on Tower Hill, London, England
body taken to Saint Peter ad Vincula, Tower of London, England
his head was parboiled and then exposed on London Bridge for a month as a warning to other “traitors”; Margaret Roper bribed the man whose was supposed to throw it into the river to give it to her instead
in 1824 a lead box was found in the Roper vault at Saint Dunstan’s Church Canterbury, England; it contained a head presumed to be More’s
Beatified : 1886 by Pope Leo XIII
Canonized : 1935 by Pope Pius XI
Etimologia: Tommaso = gemello, dall'ebraico
Ordo Franciscanus Saecularis

 

 

평신도 지도자는 그리스도 교회에 대한 관할권을 가질 수 없다고 한 토마스 모어는 자기 믿음의 대가로 생명을 바쳤다.
1535년 7월 6일, 런던탑에서 참수되어 순교한 토마스 모어는 헨리8세의 이혼과 재혼, 그리고 영국 교회의 창설을 끈질기게 부인했다.
"4계절의 사나이"라고 불린 모어는 문학자이며 뛰어난 법률가로서, 신사였으며 네 아이의 아버지로 영국의 수상이었다.

훌륭한 영적 인물이었던 그는 앤 볼레인과 결혼하기 위하여 아라곤의 카타리나와 이혼한 왕의 처사를 지지할 수 없었을 것이다.

또한 그는 로마 교회와 관계를 끊고 교황의 수위권을 부정하는 헨리 8세를 영국 교회의 최고 우두머리로 인정하지 못했을 것이다.
그는 반역죄로 재판을 기다리면서 런던탑에 갇혀 있었다.

그 반역죄란 계승 법령과 영국 왕이 영국 교회의 우두머리라는 내용의 문서에 서약하지 않은 것이었다.
토마스 모어는 확신을 가지고 "나는 모든 그리스도교계의 공의회를 알고 있지만 자기 양심의 판단에 따르지 않은 것은 오직 한 나라의 공의회뿐."이라고 단언했다.

 

 

400년 후인 1935년에 토마스 모어는 하느님의 거룩한 인물인 성인으로 시성되었다.

몇몇 성인들은 20세기에 와서 더욱 두드러진다.

최고의 외교관이며 조언자였던 그는 왕을 기쁘게 해주기 위하여 자기 자신의 윤리적 가치관과 타협하지는 않았다.
권위가 바라는 것은 무엇이든지 맹목적으로 받아들인다고 해서 그것이 권위에 대한 진정한 충절은 아님을 알았던 것이다.
헨리8세 자신도 이것을 잘 알았다.

그는 토마스 모어란 인물이 신중한 사람이며 그의 인격은 아무도 의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았기 때문에 수상인 그를 자기 편에 두려고 온갖 노력을 다했다.
그러나 헨리 8세에게는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닌 두 가지 문제를 인정할 수 없었던 토마스가 수상직을 사임하자 헨리 8세는 그를 없애 버린 것이다.

 

 

사형 집행인이 토마스 모어에게 눈가리개를 하려고 하자 그는 자기 스스로 그것을 하겠다고 말했다.

그리고 그는 처형대의 받침 위에서-그것은 단순한 나무토막이었다.-자기 머리를 쳐들고 잠깐만 기다리라는 신호를 했다.

그리고 마지막 농담을 했다.

나무토막 위에 놓여 있는 자기 수염을 치우고 싶다는 것이다.

적어도 그것(수염)은 반역죄를 짓지 않았다는 것이다.

무거운 도끼가 천천히 들려 올라가서 잠깐 동안 공중에 머물렀다가 떨어졌다.

(테오도르 메이나르, "영웅 인문주의자")
(성바오로수도회홈에서)

 

Study for the Family Portrait of Sir Thomas More-HOLBEIN, Hans the Younger
c. 1527. Pen and brush in black on top of chalk sketch, 38,9 x 52,4 cm
Kupferstichkabinett, Öffentliche Kunstsammlung, Basle

인간은 보통 선뜻 눈에 띄는 공훈을 좋아하기 마련이다.

그러나 하느님의 눈앞에는 초자연적 성덕만이 빛을 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때로는 자연과 초자연적인 것을 다 겸한 공적을 남긴 사람도 있으니, 그런 이는 물론 세인의 갈채와 아울러 하느님으로부터의 상급도 받게 되는 것이다.

바로 지금 말하려는 성 토마스 모어가 바로 이 같은 분이다. 

그는 1480년 영국의 수도 런던에서 태어났다.

그의 아버지는 매우 강직한 성격으로 지방민의 신망이 두터운 판사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읜 토마스는 엄격한 아버지 슬하에서 교육을 받으며 자랐다.

초등학교를 졸업하자, 그는 그 당시 재산의 중직에 있던 캔터베리의 대주교 요한 머턴 추기경의 슬하에서 심부름을 하게 되었다. 솔직하고 담백한 그의 성품은 곧 추기경의 총애를 받게 되었고, 그의 도움으로 유명한 옥스퍼드 대학에서 고대 문학을 전공하게 되었다. 

당시 문학을 한다는 이들은 연약하고 게을러 자연 타락의 구렁에 떨어지기 일쑤였다.

그러나 토마스는 그런 환경에 휩쓸릴 겨를도 없이 오직 면학에만 열중했다.

이는 엄격한 아버지가 가끔 보내주는 약소한 학비로 그런 방면에 여유를 갖지 못한 데도 그 원인이 있었겠지만, 그보다도 그의 유년 시절부터 마음속에 굳게 간직한 신앙과 열렬한 기도 생활의 힘이 더욱 컸던 것이다.

그는 다윗 성왕의 시편에서 마음에 맞는 구절을 마음대로 선택하여 스스로 기도문을 만들어 조석으로 열심히 기도했다. 

그의 학교 성적은 두 말할 것도 없이 모두가 수(秀)였다.

특히 그는 라틴어에 능숙하여 어려운 문구를 자유자재로 구사(驅使)하며 시를 지었을 뿐만 아니라 가장 어렵다는 시인 루싱아의 소설 중의 회화 편을 손쉽게 영어로 번역할 수 있었다. 

그러나 토마스의 입신 출세만을 바라던 아버지는 그를 더 이상 그곳에 머물게 하지 않았다.

그는 곧 런던에 돌아와 법학을 연구하게 되었다.

그의 공명정대한 사건처리 솜씨는 귿 그 지방민들의 깊은 신망을 받게 되어, 불과 25세라는 약관으로 민의원에 당선되는 영광을 차지했다. 

민의원이 된 그는 개인의 이익보다 오히려 국가와 민족을 위해 봉사해야된다는 결심아래 그야말로 분골쇄신하여 활약했던 것이다.

그러던 중 어떤 추가 예산안 작성시에 10만 파운드의 예산액을 3만 파운드로 삭감하려는 논쟁을 벌여 그 결과 불행히도 의원직을 사퇴하지 않으면 안되었다.

그는 일단 의원직을 사퇴했으나, 정의를 위해 싸운 그의 공적은 잊혀지지 않았다.

 

 

한편 그가 법률을 더 깊이 연구할 기회를 얻게 되었으며 그 뒤 4년 동안 가끔 가까운 수도원을 찾아 수사들과 같이 고해의 생활을 하는 것을 배웠고 그것으로써 일신상의 덕을 닦았다.

그동안 그는 수사나 혹 사제가 되려는 생각으로 이를 지도 신부에게 이야기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끝내 승낙을 받지 못하고 다만 성 프란치스코 제3회에 입회하는 것으로 만족했다.

그리고 2년간 프랑스어를 공부하기 위해 프랑스에 유학했다.

거기서 돌아온 그는 다시 변호사업을 시작하고 경건하 요안나 골드를 맞이하여 아내로 삼아 평화로운 가정을 이루었다.

그러나 모진 바람은 다시 불어왔다.

즉 요안나는 남매를 남기고 세상을 떠난 것이다.

자녀의 양육을 위해 토마스는 다시 과부인 알리스와 결혼하지 않을 수 없었다. 

토마스의 가정은 신심생활의 거울이었다.

그는 가장으로서 모든 면에 잇어 모범이 되어 매일 미사에 참여함은 물론, 식사때에도 성서 구절을 낭독하고 처자와 더불어 성서에 대산 이야기로 꽃을 피웠다.

다른 이들에 대한 신뢰와 애정은 말할 것도 없었고 손님을 대접할 때도 얼마나 정성껏 친절을 베풀었던지, 사방에서 찾아든 손님들로 집안이 들끓었으며, 그 중에는 외국손님도 많이 끼어있었다고 한다.

첼시에 별장을 둔 후부터는 더욱 많은 손님을 대접했다. 

그러는 동안 토마스의 명성이 날로 높아가 마침내 대심원장이라는 중직에 오르게 되었다.

국왕 헨리 8세는 그를 신임하여 그에게 프랑스와의 화친 문제등 기타 여러가지 중책을 맡겼으며, 그때마다 그는 대 성공리에 책임을 완수 했다.

그러자 국왕은 그를 더욱 더 믿게 되어 1529년 10월에는 그를 재상직에 올려 주었다.

본래 겸허한 토마스는 그 같은 고위 영직을 탐하지 않았으나 국왕의 명이므로 그를 받들어 그 선정에 적극 조력했다.

 

 

다음은 그가 대심원장 때의 일화 한 토막이다.

그는 중대한 사건의 결심판결에 앞서 일개 판사에 불과한 노부(老父)앞에 꿇어 올바른 판결을 위한 축복을 빌었다 하니, 그가 얼마나 책임감에 충실했던가를 능히 짐작할 수 있는 일이다. 

이같이 국왕의 총애를 받은 토마스는 신(臣)과 민(民)으로서의 모든 영예를 다 지녔다고 볼 수 있지만, 그는 결코 국왕의 비도(非道)에 대하여 묵과하는 성격이 아니었다.

즉 헨리 8세가 안나 볼레인과 결혼하기 위해 본처인 황후와 이혼하고자 모어에게 동의를 청한 때이다.

이것이 바로 저 유명한 헨리 8세의 사건이다. 

이로 말미암아 오늘의 영국 성공회가 시작된 것이지만, 가톨릭적 결혼관은 "주님께서 맺어주신 바를 사라미 능히 이를 풀지 못하느니라."하신 바로 그것이다. 그러므로 이혼이라는 것은 있을 수 없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토마스는 국왕에게 그렇게 할 수 없음을 권유하려 했으나 국왕이 도저히 이를 들어주지 않았기때문에 마침내 사표를 내게 되었다.

물론 왕은 이를 수리하지 않았다.

토마스의 고민은 날로 커져만 갔다.

설상가상으로 그의 정적들은 때를 이용하여 여러 자기 모략으로 토마스에게 역적의 죄목을 씌웠다.

토마스의 충성은 세인이 다 알기 때문에, 그런 죄목에 대한 혐의가 있을 리 만무하지만, 다만 신조에 어긋나는 일이라면 일보도 양보치 않을 것은 분명했던 것이다. 

이것이 국왕의 비위에 거슬리게 되어 그는 즉시 감옥에 구금되었다.

그리고 재산까지도 몰수당했다.

그는 최후 판결을 받는 날 눈물겨운 심정으로 고해 영성체하고 미사 참여를 마친 후 일단 신자들에게 이별의 인사를 고하고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몸이 되고 말았다. 

재감 1년간, 정적들은 수차에 걸쳐 그의 배교와 번의 (飜意)를 꾀했다.

심지어는 그의 사랑하는 딸 마르가리타를 보내 "피셔 주교님도 국왕의 이혼을 승낙하셨는데 아버지도 마음을 돌리세요."라고 말하게 했다.

그러나 그는 "하느님께 죄를 지을 수는 없다."하며 끝까지 자기 신념을 굽히지 않았다. 

다음은 사랑하는 아내 알리스가 와서 애걸했다. 남편이 없는 가정이란 말할 수 없는 형편이라는 등 여러 가지 사정을 들어 눈물로써 토마스에게 호소했다.

그러나 토마스는 "알리스, 내가 양심을 어겨서 국왕의 비행에 동의하고 형벌을 면한다 합시다.

우리가 앞으로 얼마동안 더 재미있는 가정을 이루며 살 수 있겠소?" 

"한 20년쯤은.."

"뭐 20년쯤? 그래 그것 더 살려고 죽어서 영원한 지옥 불을 당해도 좋단 말이오? 그건 너무나 미련한 짓일 뿐이오." 하는 대답뿐이었다.

토마스의 옥중 생활을 편지를 쓰거나 저서를 저술하는 것 등이었다.

"신앙을 위한 죽음", "예수 그리스도의 수난"등은 재감 중에 저술한 서적이다.

얼마 후 그는 펜과 잉크까지도 압수당했다. 이렇게 되자, 그는 기도를 드리는 것 외에는 위로를 삼을 길이 없게 되었고, 가끔 종이 조각에다 숯 부스러기로 편지를 써서 처자에게 소식을 전하곤 했다.

 

 

1535년 7월 1일에 토마스에게 추상같은 사형 선고가 내려졌다.

형 집행은 6일이었다.

그가 단두대에 섰을 때, 그의 죽음을 애석히 여기는 무수한 군중들에게 전래대로 고별인사를 하려고 했으나, 그것마저 인심을 소란케 한다는 이유로 금지 당하고 말았다.

"나는 가톨릭 신앙을 위해 죽는다."는 간단한 한 마디와 십자가를 손에 꼭 쥐고 "주여! 저를 불쌍히 여기시어 자비를 베푸소서."를 외쳤다. 

변천 무상함은 세상의 상사인지라, 한때는 하늘을 나는 새도 떨어뜨릴 수 있었던 대 재상이 지금은 역적의누명을 쓰고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지려는 찰나에 아무리 심장이 강철같은 집행인일지라도 눈시울을 적시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이것을 본 토마스는 침착한 발걸음으로 그들 앞으로 가까이 가서 등을 두드리며 "걱정할 것 없어. 지금은 당신들이 나의 가장 고마운 친구들이야."하며 오히려 격려했던 것이다.

그리고 잠깐동안 하늘을 우러러 기도하고스스로 단두대에 머리를 눕혀 형을 받았다.

그는 자신이 국왕의 충실한 종이 될 수 있으나 그러나 먼저 하느님의 종이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던 위대한 신앙인이었다.

그의 머리는 가장 번화한 거리인 런던 다리 위에 매달아 오가는 사람들로 하여금 보도록 했다 한다. 

그러나 정의를 위해서는 어떠한 권력에도 굽힐 줄 모르는 철석같은 신앙은 마침내 상급을 받았으니, 즉 1934년 성령 강림 대축일에 토마스는 요한 피셔와 더불어 성인품에 올랐다.

그리고 오늘날 가장 근대적인 성인으로 전세계 신자들의 존경을 받고 있다.
(대구대교구홈에서)
 

 

성 토마스 모어가 옥중에서 자기 딸 마르가리따에게 보낸 편지에서

(The English Works of Sir Thomas More, London, 1557, p.1454)

 

하느님께 내 모든 희망을 걸고 내 전부를 맡기겠다.

내 사랑하는 마르가리따야, 내 지난 날의 죄를 볼 때 나는 하느님께로 부터 마땅히 버림받아야 할 몸임을 잘 알고 있지만, 그래도 그분의 무한한 사랑에다 내 신뢰를 걸고 또 마음을 다하여 희망하지 않을 수 없다.

이제까지 하느님의 거룩한 은총은 나를 굳세게 해주시어 나로 하여금 양심을 거슬러 서약하는 것보다 기쁜 마음으로 재물과 토지와 생명마저 잃을 수 있게 해주셨다.

하느님께서는 또 국왕의 마음을 움직이시고 그에게 너그러운 마음을 주시어 아직은 나에게서 자유만을 빼앗도록 하셨다.

이 자유를 나에게서 거두실 때 하느님께서는 이제까지 내 신앙을 북돋아 주시고자 그토록 허다하게 베풀어 주신 당신의 커다한 영적 은혜들 가운데서 내가 감옥에 갇히게 된 것이 가장 큰 은혜라고 생각토록 해주셨다.

그래서 나는 하느님의 은총을 불신할 수없다.

하느님께서 원하신다면 국왕으로 하여금 계속해서 너그러운 마음으로 나를 대하게 하시어 그가 나에게 아무 해를 입히지 않게 하실 것이다.

그러나 하느님께서는 내가 나의 죄 때문에 응당히 받아야 할것 이상으로 고통받게 하기를 원하신다면, 그분의 은총이 나로 하여금 인내의 마음으로 그리고 어쩌면 기쁜 마음으로까지 그것을 받아들일 힘을 주실 것이리라고 확신한다.

내가 고통을 잘 참아 낸다면 이것을 내 인내심의 공로를 훨씬 초월하는 주님의 쓰라린 수난의 공로와 결합시키시어, 내가 연옥에서 당할 고통을 줄여 주시고 천상에서 받을 상급을 늘려 주실 것이다. 

마르가리따야, 내 비록 허약한 사람이라고 스스로 느끼고 있지만, 절대로 하느님을 불신하지 않겠다.

나를 쓰러뜨릴 정도의 두려움을 내가 느끼어 되어도 성 베드로에게 생긴 일을 기억하겠다.

돌풍이 일자 약한 믿음 때문에 물 속으로 빠져 들기 시작한 그가 그리스도를 부르면서 도움을 간구한 것처럼 나도 그를 본받아 그리스도께 간구하겠다.

그때 주님께서는 당신의 거룩한 손을 뻗치시어 폭풍에 휩싸인 이 바다에서 나를 붙들어 올리시어 물에 빠져 들지 않게 하시리라.

그런데 내가 베드로를 답습하여 나도 그처럼 유혹에 넘어져 주님을 모른다고 맹세하고 또 맹세하게 된다면, (하느님의 자비는 내가 그런 상태에 빠지지 않게 해주시고 혹시라도 빠진다면 유익보다는 해가 되게 해주기를) 그때에도 베드로를 인자하게 굽어보신 것처럼 나도 연민에 찬 시선으로 굽어보시고 다시 일으키시어 내 양심의 진실을 다시금 고백하게 하시고 이 세상에서 내 잘못에 대한 수치와 마음의 괴로움을 느끼도록 해주실 것입니다.

여하튼 나는 이것만은 분명히 알고 있다. 

마르가리따야, 하느님께서는 내 잘못이 아니라면 결코 버림받는 자가 되게 하는 것을 허락치 않으실것이다.

나는 하느님께 내 희망을 걸고 내 전부를 그분께 맡기겠다.

그러나 내 잘못 때문에 버림받은 자 된다 해도 이것은 하느님의 정의와 찬미와 영광이 될 것이다.

마르가리따야, 하느님이 너그러우신 자비는 이 불쌍한 영혼을 구하시고 내가 그 자비를 찬미할 수 있게 해주시리라 굳게 믿으며 이를 조금도 의심치 않는다.

내 사랑하는 딸아, 이 세상에서 내게 무슨 일이 생긴다 해도 걱정하지 말아라.

하느님이 허락하시지 않으면 그 어떠한 일도 생길 수 없다.

무슨 일이 생긴다 해도, 겉보기에 그것이 나쁜 것으로 보일지 몰라도, 참으로 가장 좋은 것이 되리라고 나는 확신한다.

(가톨릭굿뉴스홈에서)
 

 

법률학자이자 판사이던 요한 모어(Joannes More)의 아들로 런던에서 태어난 성 토마스 모어는 12세 때에 캔터베리(Canterbury)의 대주교인 요한 모턴의 조수생활을 하다가 옥스퍼드로 가서 링컨 법학원에서 법률을 공부하고 1501년 법조계에 진출했다.

1504년에 그는 영국 의회에 진출했으며 카르투지오 회원이 되려는 꿈을 포기하고 1505년에 제인 콜트(Jane Colt)와 결혼하였다.

그들의 집은 영국의 문예부흥 및 문화의 중심지 역할을 하였다.

그 이유는 당대의 석학들과 지성인들이 그를 중심으로 모였기 때문이다.

그의 해박한 지식과 기지는 만인의 감탄을 불러 일으켰다.

그는 영국 인본주의자들의 지도자였을 뿐만 아니라 당대의 최고 석학이었다.

그는 시, 역사를 비롯하여 프로테스탄트를 반대하는 논문, 신심 서적과 기도문 등을 저술했고 고전 번역 작업도 하였다.

그의 대표작인 “유토피아”(1515-1516년)는 이성이 지배하는 이상적인 국가상을 묘사한 것으로 세계의 고전이 되었다.

또 “루터를 배격하는 헨리의 변명”(1523년)은 그가 가르쳤던 헨리 8세에 대한 강력한 옹호가 담긴 서적이다.

   1510년 그는 런던의 주 장관대리가 되었고, 1511년에는 아내와 사별한 뒤에 과부이던 엘리스 미들턴(Alice Middleton)과 재혼하였다.

헨리가 그의 형 아서(Arthur)의 사망으로 왕으로 등극하면서부터 그는 프랑스와 플랑드르(Flandre)의 외교사절로 활약했고, 1517년에는 추밀원에 진출했으며, 1521년에는 기사작위를 받았다.

또한 그는 1523년에 하원 의장으로 선출되었고, 1529년에는 월시(Walsh) 추기경 후임으로 재상이 되었다.

모어는 이때 왕의 이혼에 대하여 강력한 어조로 반대하고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재상으로 기용된 것이었다.


 

그 후 그는 헨리 8세 왕의 이혼 문제에 침묵을 지킴으로써 왕의 혼란을 가중시킴과 아울러 분노케 하다가, 헨리 8세가 카타리나(Catharina of Aragun) 왕비와의 이혼 허가를 교황청에 제출하는 서류에 서명하기를 거부했을 때 국왕의 태도는 완전히 달라지기 시작하였다.

또 교회를 반격하는 일련의 서류에 대해 공식적으로 반대 입장을 표명한 후 모어는 재상직을 사임하고, 1532년에 첼시(Chelsea)에 있는 집으로 돌아왔다.

또한 그는 헨리 8세가 카타리나의 시녀였던 앤 불린(Anne Boleyn)과의 사이에서 낳은 자식에게 후계 지위를 양도한다는 소위 왕위 계승 문서에 서명하기를 거부함으로써 왕에게 정면으로 맞서게 되었다. 
그래서 그는 1534년에 체포되어 런던탑에 갇혔고, 15개월 동안 옥중 생활을 하는 중에도 영국 교회에 대한 왕의 수장령에 서명할 것을 요청하는 토마스 크롬웰(Thomas Cromwell)에게 침묵권을 행사하며 반대 의사를 표명하였다.

이 일로부터 꼭 5일 째 되는 날인 7월 6일, 마침내 그는 참수형을 받고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는 자신이 국왕의 충실한 종이 될 수 있으나 먼저 하느님의 종이 되어야 한다고 선언했던 위대한 신앙인이었다.

그는 1935년 교황 비오 11세(Pius XI)에 의해 시성되었고, 법률가의 수호자로서 공경을 받고 있다.

그리고 2000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Joannes Paulus II)에 의해 정치가의 수호성인으로 선포되었다. 
(가톨릭홈에서)
 



정직함

‘사계절의 사나이’로 불리는 성 토마스 모어는 헨리 8세 때 대법관이자 법률가, 신학자, 철학자, 작가로 유명한 사람이다.

그러나 그는 지위나 재능보다도 정직하고 신실한 사람으로 더 높이 평가되고 있다.

헨리 8세는 토마스 모어가 두 번째 아내 앤 불린의 딸(엘리자베스 1세 여왕)이 적법한 왕위 계승자임을 공표하는 법령에 서명하기를 거절하자 그를 옥에 가두었고, 설득에 실패하자 결국은 그의 목을 베어 버렸다.

토마스 모어는 헨리 8세가 영국 국교회의 수장이 되어 영국 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시켜는 의도가 그 서류에 담겨 있음을 간파했다.

그는 자신이 그 서류에 서명하지 않으면 죽게 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있었지만 자신의 결심을 바꾸지 않았다.

“나는 왕의 좋은 신하로 죽지만 그보다 먼저 하느님의 착한 종이다.” 

그는 법률가였고 정치인이었으므로 법에서 빠져 나갈 방법을 찾아낼 수 있었을 것이다.

그러나 그는 양심에 걸리는 일을 하지 않았다.

우리는 날마다 강도와 불륜, 사기 사건으로 가득 찬 신문을 읽는다.

어떤 때는 도대체 이 세상에서 정직하고 양심적으로 살려고 노력하는 일이 의미가 있는가 하고 의심하기도 한다.

토마스 모어는 어지러운 세상에서 어떻게 살아야 할지를 보여 주는 성인이다.

나 자신뿐 아니라 남에게도 정직한가?

타협의 기준은 외부의 압력이 아니라 나의 양심이다.
(까리따스수녀회홈에서) 



 








성 토마스 모어 순교자와 성 요한 피셔 주교 순교자
(성 요한 피셔 주교 순교자 축일 : 6월 2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