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수님의 얼굴을 쌌던
수건은 아마포와 함께 놓여 있지 않고,
따로 한곳에 개켜져
있었다." (7)
여기서 '수건'으로
번역된 '수다리온'(sudarion)은 요한 복음11장 44절에서 라자로가 죽음에서 깨어나 무덤에서 나올 때 얼굴에 감싸인 채 있던 수건과 동일한 단어인 것을 볼 때, 장례때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수의의 일부분이다.
예수님의 몸을 쌌던
아마포와 얼굴(머리)를 쌌던 수건은 약간 떨어진
동일한 위치에
있었다.
'아마포'(flax)에
해당하는 '오토니아'(othonia)는 '고운
베' 또는 '세마포'(linen)
라고도 하는 천으로서
이집트(1열왕10,28)나
시리아(에제27,16)로부터 수입되어 팔레스티나에서도 사용되기 시작한 것으로 추정되며, 만남의 천막 재료(탈출26,1)나 사제의 의복 재료(탈출28,5~8)로 사용되었다.
이 아마포는 눈처럼
흰색을 가지고 있어서 장례용 수의로 사용되기도
한다.
그래서 요한 복음
19장 40절에는 아리마태아 출신 요셉이 예수님의 몸을 감싸는 데 사용한 천으로 나온다.
이것은 비싼
천이었으므로 만일에 예수님의 시체를 훔쳐갔다면, 이 아마포도 당연히 가져갔을 것이다.
이것이 예수님 부활의
간접적 증거가 된다.
또한 '개켜져'로
번역된 '엔테튈리그메논'(entetylligmenon ; wrapped ; was folded up)의 원형 '엔튈릿소'(entyllisso)는
우리말 '개키다'가 갖는
'잘 포개접다'의 의미가 아니고,
둥그렇게 말려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즉 수건으로 머리와
턱을 동여맸던 상태 그대로 놓여 있던 것이다.
이런 정황을 근거로 볼
때, 예수님께서는 부활하시면서 부활하신 몸이
신비스런 방법을 통해
수의나 머리를 감싼 수건으로부터
저절로 빠져
나온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비유가 적절한지
모르겠지만, 마치 매미가 허물을 벗듯이 수의를
입고 있는 상태에서 몸만 빠져 나간 것과 같은 모양이다.
그러니 만일에 누군가
예수님의 시신을 훔쳐 갔다면, 시신에서 아마포와
수건을 일일히 벗겨내거나,
벗겨냈다 할지라도 그것을 가지고 가지 않고
다시 개켜 놓은 뒤에
시신만 훔쳐 갔을리가 만무한
것이다.
교회는 이렇게 빈무덤 사화를 부활의 첫 메세지로 선포함으로써
역사의 예수님을
믿음의 그리스도, 생명의 주님,
살아계신 하느님의 아들로서
받아들이고
믿기를 촉구하고 있는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