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지킴이

한밤의 사진편지 제2850호(한양도성 순성길 [1] '21/9/6/월) 본문

한밤의 사진편지

한밤의 사진편지 제2850호(한양도성 순성길 [1] '21/9/6/월)

불꽃緝熙 2021. 9. 6. 11:50

 

 

한밤의 사진편지 제2850호 ('21/9/6/월)

[한사모' 공식 카페] - '한밤의 사진편지 romantic walking'

< cafe.daum.net/hansamo9988 >

-[클릭]-

 

 

-< 18.627km의 한양도성은 역사문화도시 서울의 랜드마크>-

 

 

한양도성 순성(巡城)길을 걸으며...


"한양도성, 600년 서울을 품다."

 

(1) 보신각종이 울리면 한양은 깨어난다.

 

[글, 사진 : kukinews의 곽경근 대기자 kkkwak7@kukinews.com]

 

첨부이미지

 

-< 인왕산 순성길/ 도심에서 시민들이 편하게 오를 수 있는 한양도성성곽길 중 한 코스이다.>-

 

          서울 한양도성(漢陽都城· Seoul City Wall)은 조선왕조의 수도인

         한성부의 경계를 표시하고 왕조의 권위를 드러내며 외부의 침입을

         방어하기 위해 축조된 성곽유산입니다.


          600년 고도(古都)의 역사가 흐르는 한양도성(사적 제10호)은

         중요한 역사경관이자 궁궐과 함께 서울의 랜드마크 역할을 감당하고

         있습니다. 조선시대 성벽축조 변천사를 고스란히 담고있는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전 세계 도성 중 가장 오랫동안(511년) 도성으로서의 기능을

         현재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kukinews의 곽경근 대기자(kkkwak7@kukinews.com)가

         "한양도성, 600년 서울을 품다."라는 주제로 10회에 걸쳐 기획 연재한

         내용을 코로나 19로 인하여 거의 1년 8개월 넘게 주말걷기를 쉬고 있는

         우리 "한사모" 회원들을 위하여 이 글을 옮겨 봅니다.

          가내 두루 평안하시고, 모두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서울의 성장과 변화를 온몸으로 겪어낸 한양도성은 길이가 18.627㎞로 서울시 5개구를 아우른다.

 

       1898년 숭례문을 통과하는 전차 단선궤도가 깔리고 1907년에 숭례문 양쪽 성벽이 헐렸다.

       사진은 비교적 숭례문이 온전히 보전된 상태여서 1890년대 초 숭례문 밖에서 촬영된 사진

       으로 보인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1> 보신각종이 울리면 서울은 깨어난다.


        한양도성의 정문격인 숭례문(崇禮門)과 인근 소의문(昭義門) 앞에는 어둠이 채

       가시기 전부터 성문이 열리기를 기다리는 백성들과 팔도에서 올라온 농수산물을

       실은 우마차가 길게 줄지어 서있다. 그 중에는 과거를 치르기 위해 상경한 진사와

       처음 한양나들이에 나서서 어리둥절하는 사람들, 도성 안에서 근무하는 관리들과

       상인들까지 다양한 사람들이 성문이 열리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봄꽃 만개한 동대문성곽공원에서 바라본 흥인지문과 도심 전경 /

       안타깝게도 흥인지문(동대문)에서 남산초입 구간도 성곽이 대부분 소실되었다.

 

         “디잉~ 딩~ 디딩~”/마침내 새벽 4시 파루罷漏가 되자 한양의 중심에 위치한

       보신각에서 33번의 종이 울리고 성문이 활짝 열린다. 28번 울리는 인정(人定)의

       종소리와 함께 성문이 닫히고 도성 안엔 통행금지가 시작되고, 파루罷漏의 종이

       울리면 한양은 잠에서 깨어났다. 밤 10시 인정에 28번의 종을 치는 것은 우주의

       일월성신 28 별자리에 밤새 안녕을 기원한 것이다. 새벽 4시 오경에 33번 종을

       치는 파루(罷漏)는 나라의 태평과 국민의 무병장수, 평안을 기원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이와 마찬가지의 의미로 600년이 지난 요즘도, 해마다 새해맞이로

       보신각 종을 33번 타종하고 있는 것이라 하겠다.


       인왕산 초입에서 바라본 한양도성 성곽과 도심 야경

 

        백악산 정상의 창의문을 제외한 4대문과 4소문 밖에서 줄을 서 있는 백성들은

       도성 안으로 들어가기 전 현판의 글을 소리높여 읽는다. 숭례문崇禮門밖 한강을

       건너온 사람들은 ‘예절을 숭상하라’는 글을 또박또박 읽으며 종소리에 맞추어

       성문 안으로 들어간다. 마포나루 생선과 소금을 가져 온 칠패시장 상인들 역시

       소의문昭義門현판에 ‘의로움을 빛나게 하라’는 글을 읽으며 힘차게 하루를 시작

       했다. 한양도성에서 성문을 중심으로 팔도로 이어진 길들은 사람들과 조선의

       모든 문화와 진기한 물산이 오가는 대동맥이었다. 나랏님이 살고있는 한양 땅을

       밟는 백성들에게 도성과 궁궐은 감동과 놀라움 그 자체였으리라.


       백악 곡성 쪽에서 백악산(북악산) 정상 부근을 지나는 한양도성 전경(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98일 만에 쌓아 올린 한양도성의 명과 암

        “종묘(宗廟)는 임금의 조상(祖宗)을 봉안하여 효성과 공경을 높이는 것이고,

       궁궐은 국가의 존엄성을 보이고 정치와 행정을 내는 것이며, 성곽城郭은 안팎을

       엄하게 하고 나라를 굳게 지키려는 것으로, 이 세 가지는 나라를 가진 사람들이

       제일 먼저 해야 하는 것이었다.” [태조실록] 1394년(태조3년)


       인왕산 정상 인근에서 바라본 한양도성과 서울 시내 전경

 

        1392년 개성에서 한양으로 천도한 태조 이성계는 먼저 궁궐과 종묘 사직을

       완성한 후 곧바로 1395년(태조 4년) 윤 9월, 도성조축도감都城造築都監을 설치

       하고 도성축조를 시작했다. 인왕산, 안산, 백악산 중 과연 어떤 산을 한양의 주산

       으로 삼을 것인가로 조정 대신들은 논쟁이 분분했다. ‘군자는 남쪽을 향해 정치

       해야 한다’는 유교사상에 근거해 결국 ‘조선의 설계자’로 불리는 정도전鄭道傳의

       의견대로 경복궁의 뒷산인 백악산白岳山을 주산主山으로 정했다.


내사산 중 가장 높이가 낮은 낙산(낙타산). 시민들이 성벽을 따라 여유롭게 산책하고 있다.

 

        한양 외곽을 감싸는 삼각산, 관악산, 덕양산, 용마산 등 4개의 외사산 안쪽에

       위치한 ‘백악(북악산) · 낙타(낙산) · 목멱(남산) · 인왕’의 내사산(內四山) 능선을

       따라 성을 쌓기로 했다. 백악산 정상인 백악마루에서부터 동쪽으로 일주하면서

       천(天), 지(地), 현(玄), 황(黃)의 천자문 순서로 글자를 붙여나가며 구획을 나눴다.

       5만9500척(약 18.6㎞)의 한양도성을 전국 각 군과 현에서 차출된 19만7400명이

       약 600척(180m)씩 97개 구간으로 나눠 성을 쌓았다.


       인왕산 초입의 성벽 / 시대별 축성한 성돌의 모양이 다양하다. 태조는 개국 직후 한양도성

       건설에 가장 큰 열정을 보였다. 종묘의 공사 현장에 3번, 사직 공사에는 한 번 행차했으나

       한양도성의 공사 현장은 무려 7번이나 직접 돌아봤다고 한다.

 

        축조기간은 태조5년(1396년) 음력 1월9일부터 2월28까지 49일간, 8월6일부터

       9월24일까지 49일간 2회에 걸쳐 진행됐다. 농번기와 혹서기, 혹한기는 피하고

       농한기에 백성들이 동원되었다. 속전속결, 불과 100여일 만에 한양도성의 기본

       형태가 완성된 것이다.


        "성곽축조 기술 한 눈에" / 1396년 태조 이성계가 전국의 백성을 모아 98일 만에 초축한

       한양도성은 세종4년(1422)에 8도의 군사를 동원해 개축하고, 이후 임진왜란, 병자호란을

       겪으며 곳곳이 무너진 한양도성을 숙종 때에는 대대적으로 개축한다.

 

        각 공사 구간에 판사(判事)를 비롯하여 12명씩 책임자를 두어 견고하게 축성

       하도록 책임을 맡겼다. 공사가 빠르게 진행되는 만큼 해당구역의 성벽에 관직과

       군명(郡名)을 새겨 넣어 책임을 분명하게 했다. 오늘날 ‘공사실명제’의 흔적은

       순성길 중간 중간에서 볼 수 있다. 이처럼 한양도성은 태조 때 백성들이 온 힘을

       모아 창축되었고 세종 때 개축, 숙종 때의 수축을 거쳐 오늘에 이르렀다.


       성곽길역사문화연구소 최철호 소장이 인왕산 자락 성벽에서 지진에 대비한 꺽쇠씩 돌들의

       축성 형태를 가르키고 있다. "가장 먼저 도성이 축조된 태조 때에 사용한 돌은 자연석을

       거칠게 다듬어 썼다. 세종 때는 메주 모양의 직사각형 돌로 다듬어 썼고, 숙종 때에는 가로

       세로 40~45㎝ 내외로 규격화해 이전보다 성벽이 더 견고해졌다. 순조 때에는 가로 세로

       60㎝로 돌이 더 커졌다."고 최 소장은 설명했다.

 

        “한양도성의 형태가 비교적 잘 보존되어 있는 곳은 인왕산과 백악산 구간이다.

       한양도성을 걸어보면 성벽과 성돌의 나이를 가늠할 수 있다.”

        “거친 화강암에서 옥수수 같은 성돌, 정방형 성돌까지 과학기술과 건축기술이

       한 눈에 들어온다. 지진에 대비해 꺽쇠씩 돌들의 축성을 보면 조상들의 지혜에

       저절로 고개가 숙여진다.”


           혜화문 전경(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한양도성은 8개의 성문城門인 4대문과 4소문을 두었다. 4대문은 북쪽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숙정문 · 흥인지문 · 숭례문 · 돈의문이다. 4대문의 이름은 유교의

       5가지 덕목인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에서 한 글자씩 따와서 문을 만들었다.

       숭례문崇禮門의 예, 흥인지문興仁之門의 인, 돈의문敦義門의 의, 숙정문肅靖門의

       정, 그리고 한양도성의 중심지에 보신각(普信閣)을 설치하여 신(信)으로 했다.


            박정희 대통령 시절, 복원 작업 중인 숙정문

 

        “북쪽의 문은 원래는 지(智)를 써서 소지문(昭智門)으로 해야 하는데, 지혜를

       뜻하는 지智 자 대신 '편안할 정靖' 자를 썼다. 이 문은 높은 산 중턱에 위치하고

       있어 길이 매우 험하다. ‘정숙하고 고요한 기운을 일으킨다’는 의미에서 ‘숙정문'

       으로 명명하지 않았나 추측된다. 다락 없는 암문暗門인 것이 특색이다. 항상 닫혀

       있었기 때문에 흔히 숙정문 대신에 창의문을 북문이라고 하였다."


창의문 전경(국립중앙박물관 소장)

 

         4소문은 서북에서부터 시계방향으로 창의문 · 혜화문 · 광희문 · 소의문이다.

       이 중 소의문은 돈의문처럼 멸실되었다.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남쪽에 2개의 수문水門인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 그 외 6개의

       치(稚), 2군데의 곡성(曲城), 봉수대(烽燧臺) 등의 시설이 있었다.


       소의문 전경/ 서쪽에 있는 작은 문이라 해서 서소문으로도 불렀다.(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평균 높이 5~8m, 전체 길이 약 18.627km에 이르는 사적 제10호 한양도성은

       현존하는 세계의 도성 중 가장 규모가 크고 오랫동안(1396~1907, 511년) 도성

       기능을 수행한 우리의 자랑스러운 문화유산이다.


       한양도성 유적 전시관 전경 / “북한산 백운대에 쇠말뚝을 박은 것도 보았는데 일제가

       남산의 정기를 끊고 한양도성을 무너뜨려서 자기 나라의 신을 숭배하라고 여기 남산에

       신궁을 만들었다니 참 황당하고 분이 솟는다.”, “우리가 힘을 키워 다시는 이런 설움을

       당하지 말아야 하겠다,”

 

        “태조 때 기틀을 마련하고 세종 때 개축 시에는 무려 32만 명이 투입되었고

       단일 성곽으로 최다 인원인 50만 명이 동원되어 돌로 고쳐 쌓았다.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이후 숙종 때에는 전면보수를 통해 방어적 기능을 강화하고 영조는

       ‘도성수비론’을 내세우며 수축과 보수를 거듭하며 511년 동안 원형을 유지했다.”

       “조선의 성벽 역사가 고스란히 담겨 있는 한양도성은 살아있는 역사박물관이다.”


       성벽이 헐리고 전차가 다니는 숭례문 주변 모습 / 최신사색판(最新四色版)으로 히노데상행

       (日之出商行)에서 제작한 경성명소 시리즈(8매 1조)에 포함된 채색사진엽서의 하나이다.

       반원형으로 통일된 디자인의 외곽선 안에 숭례문(崇禮門) 일대의 전경이 인쇄되어 있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 ‘성곽도시’ 서울의 어제와 오늘

        한양도성은 1899년 도성 안팎을 연결하는 전차가 개통됨에 따라 성문이 먼저

       본래 기능을 잃었다. 이후 1907년 고종이 강제 퇴위 당한 직후 일본의 압력으로

       성벽처리위원회가 급조되었다. 1907년 일본 왕세자 방문을 앞두고 길을 넓히기

       위해 숭례문 양쪽 성벽이 철거되었고 이어 평지의 성벽들도 헐려나가면서 한양

       도성은 국운의 쇠락과 함께 몰락의 길을 걷게 된다.


       돈의문 전경/ 조선인 인부들이 전차길을 보수하는 모습(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성문도 온전치 못해 소의문은 1914년 헐리고 이어 돈의문도 1915년 헐값에

       건축 자재로 매각되었다. 일제는 1925년 남산에 조선신궁을 만들고 흥인지문 옆

       경성운동장을 건설하면서 주변 성벽을 허물어 버리고 성돌을 석재로 사용했다.

       해방 이후에도 6.25전쟁으로 도성의 정문인 숭례문이 전쟁의 포화 속에서 손상

       되었다. 전후에도 오갈 데 없는 사람들은 성벽을 담장 삼아 옹기종기 모여 살았다.

       복구와 급격한 도시화· 산업화 과정을 거치며 한양도성은 다시 한 번 사람들의

       기억 속에서 멀어지면서 훼철되는 아픔을 겪었다.


       복원 중인 한양도성/ 한양도성 복원사업은 박정희 대통령의 국방유적 보존 및 정비 지시에

       따라 추진했다. 1907년 일제가 전차를 놓겠다며 숭례문과 흥인지문 근처의 성곽을 무너

       뜨린 이래 상당 부분이 강제 철거됐고, 해방 후에도 서울 도심부 개발과 동족상잔의 6.25

       전쟁을 거치면서 곳곳이 훼손된 상태였다.

 

        1968년 1•21 사태 직후 숙정문 주변에서 한양도성의 중건이 시작되었고

       1974년부터는 전 구간으로 확장되었다. 역사적 고증 없이 무분별하게 복원한

       구간은 지금도 논란이 제기되고 있다. 2000년대 이후 청계천 오간수문(2003년),

       동대문역사문화공원(2008~2009년), 남산회현자락(2009~2014년) 발굴조사를

       통해 백년의 아픔을 견뎌내고 모습을 드러냈다. 한양도성은 아직도 전체 구간의

       30%, 5.3km(2014년 기준)가 복원을 기다리고 있다.


       한양도성 순성길 인왕산 구간은 계단이 많아 어려움을 겪기도 한다.

 

        백악에서 낙타산, 목멱산, 인왕산을 경계로 사대문과 사소문을 울타리처럼 감싸

       안은 한양도성은 궁궐과 함께 서울 도심의 살아있는 박물관이다. 빌딩 숲 사이로

       멀지않은 내사산 정상 따라 길게 이어진 고색창연한 성곽이, 서울이 600년 고도

       (古都)임을 선명하게 말해준다. 오늘도 사람들은 가벼운 옷차림으로 한양순성길에

       오르며 '오래된 미래도시' 서울을 발끝부터 느낀다.


       인왕산 구간을 산책 중 뒤돌아 보면 아름다운 서울 도심이 한눈에 들어온다.

 

 

-< La Foret Enchantee(마법의 숲)/Sweet People>-

 

첨부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