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궁궐지킴이

2632-한밤의 사진편지 제2632호(대한민국의 상징, 태극기/'18/8/14/화) 본문

한밤의 사진편지

2632-한밤의 사진편지 제2632호(대한민국의 상징, 태극기/'18/8/14/화)

불꽃緝熙 2018. 8. 13. 22:46

 

 

한밤의 사진편지 제2632호 ('18/8/14/화)

[한사모' 공식 카페] - '한밤의 사진편지 romantic walking'

< cafe.daum.net/hansamo9988 >

-[클릭]-

cafe.daum.net/hansamo9988


<맨 아래 ' 표시하기' 클릭하시면 노래가 나옵니다.>

 

 

 

[대한민국의 상징] Symbol of Korea


"태극기(太極旗, Taegeukgi)"

 

* 광복절엔 집집마다 태극기를... *

 

첨부이미지

 

8월 15일 '광복절', 대한민국의 상징 '태극기'

몇 년 전에 박물관에서 어떤 외국 사람이 태극기에는

어떤 뜻이 담겨 있느냐고 저에게 질문해 온 일이 있었습니다.


흰색 바탕은 무엇을 나타내고 있으며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무엇을 뜻하는지, 그리고 네 모서리의 4괘는 과연 무엇을 뜻하는지,

대충 임기응변으로 마무리 짓고나서 식은 땀을 훔쳤습니다.


19세기 말, 조선은 국제무대에 모습을 나타내기 시작했으며,

열강들이 앞다투어 자신들의 이권을 확보하려 조선을 찾았습니다.

태극기는 이런 상황 속에서 근대국가의 상징으로 만들어졌으나,

일제의 강점 아래에서는 밖으로 드러내놓을 수 없이

우리 민족의 가슴 속에 묻혀 버린 존재가 되어 버리기도 하였습니다.


광복의 날, 우리는 대한독립만세를 외치며

삼천리 금수강산은 태극기의 물결로 넘실거렸습니다.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고, 경제발전과 민주화의 고된 시련을

이겨내며, 굴곡진 역사 속에서도 태극기는 우리와 하나이었습니다.

애국가와 더불어 호흡하며 앞으로의 조국 통일을 바라보면서

대한의 상징 태극기는 우리와 함께 오늘도 휘날리고 있습니다.


나라의 정체성에 대한 교육이 참으로 걱정스럽기만 할지라도,

그래도 내가 살고있는 집이나 아파트 베란다에 태극기를 게양해

두는 게 어떻겠습니까? 혹여나 손주들이 볼 수도 있으니까요...

무더위에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2018.8.14 '광복절'을 앞두고

이경환 드림


 

 

현존하는 태극기 중 가장 오래된 "데니 태극기"


- 조선, 1890년경, 263 x 180cm, 등록문화재 382호, 국립중앙박물관 -


 

고종의 외교 고문이었던 미국인 데니가 소장했던 태극기


1886년부터 1890년까지 고종(재위:1863~1907)의 외교 고문을 지낸

미국인 데니가 1890년 5월 미국으로 돌아갈 때 가져갔던 태극기입니다.


현재 우리나라에 남아있는 태극기 가운데 가장 오래된 태극기로

일명 '데니 태극기'라고도 합니다. 이 태극기는 1900년 데니가 소생이

없이 죽자 가족이 대를 이어 간직하고 있다가 이를 기증받은 윌리암 롤스턴

(William.C.Ralston)이 1981년 6월 23일 우리나라에 기증하였습니다.


이 태극기에는 제작 당시의 것으로 추정되는 태극기를 거는 끈이 오른쪽에

남아있어 태극기의 오른쪽을 국기봉에 매달았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것은 오래전부터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글을 쓰던 전통 습관과 관련이

있는 듯합니다. 이 태극기의 태극은 당시 만들어진 태극기와 비교해 보면

혹시 태극을 뒤집어서 박음질을 한 것이 아닐까 하는 추정을 하게 합니다.


 

 

 

데니(Owen N. Denny, 德尼: 1838 ~ 1900년)


1886년(고종23년) 3월 청나라 리훙장(李鴻章:1832~1901년)의

추천으로 외교 관계를 담당하기 위해 조선에 온 미국의 외교관입니다.


고종의 외교 고문이 된 뒤 "청한론淸韓論"(1888년 간행)을 저술하여

근대 국제법 이론을 인용해 리훙장이 주장한 조선이 청나라에 속한

나라라는 속방론屬邦論이나 조선에 대한 청나라의 부당한 간섭을

신랄하게 비판하며 조선이 엄연한 주권독립국임을 주장하였습니다.


고종 및 정부 대신들에게 러시아와 협조할 것을 권고하며

조선이 러시아와 1888년 8월 "육로통상장정"을 체결할 때 조선

대표인 조병식(1832~1907)과 함께 조약문서에 서명하였습니다.

이로 인해 리훙장의 미움을 받아 외교 고문직에서 물러났습니다.


데니는 외교관으로 오기 전에는 미국 오리건주 포틀랜드에서

판사로 재직하였으며 동양산 꿩과 동양 원예에 조예가 깊었습니다.

1890년 한국산 꿩을 품고 돌아간 것이 오늘날 미국 전역에 퍼지게

되었으며 한국과 중국의 대나무를 미국 오리건 주에 옮겨 심어

'미국에 동양 원예에 대한 관심을 불러 일으킨 장본인'이었습니다.


 


 

영국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문서에 실려있는 태극기


- 조선, 1882년(고종 19), 영국 국립문서보관소 소장, 한철호 사진 제공 -



 

'해상 국가들의 깃발'에 실린 태극기


- 조선, 1882년(고종 19), 미국 해군성 항해국 발간, 이돈수 소장 -



 

"태극기"에 담긴 뜻


 

우리나라 국기인 태극기는 흰색 바탕에 가운데 태극 문양과

네 모서리의 건곤감리(乾坤坎離) 4괘(四卦)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태극기의 흰색 바탕은 밝음과 순수, 그리고 전통적으로

평화를 사랑하는 우리의 민족성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운데의 태극 문양은 음(陰:파랑)과 양(陽:빨강)의 조화를

상징하는 것으로 우주 만물이 음양의 상호작용에 의해

생성하고 발전한다는 대자연의 진리를 형상화한 것입니다.


네 모서리의 4괘는 음과 양이 서로 변화하고 발전하는 모습을

효(爻:음--, 양ㅡ)의 조합을 통해 구체적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건괘는 하늘을, 곤괘는 땅을, 감괘는 물을, 이괘는 불을 각각

상징하며 4괘는 태극을 중심으로 통일의 조화를 이루고 있습니다.


태극기는 우주와 더불어 끝없이 창조와 번영을 희구하는

한민족의 이상을 담고 있습니다.


 


 

첨부이미지

 

* 편집 : 西湖 李璟煥

 





-<Tribute (경의, 존경,찬사) ㅡ Yanni 외 3곡>-